본문 바로가기
IT 자격증 공부/SQLD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2(ERD)

by 코딩하는 랄로 2023. 8. 16.
728x90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1970년도에 데이터 모델링이 필수로 자리 잡았을 당시, 데이터 베이스 모델 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이 아직 정립되지 않았을 때, Peter Chen이 Entity Relationship Model 표기법을 발표하였고 현재까지 데이터 모델링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ERD는 단어에서 의미하는 그대로 'Entitiy 개체'와 'Relationship 관계'를 중점적으로 표시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한 눈에 알아보기 위해 그려놓는 다이어그램이다. 개체 관계도라고도 불리며 요구분석사항에서 얻은 엔터디와 속성들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ERD 작성절차

  • 엔터티 도출
  • 엔터티 배치 : 중요한 엔터티는 왼쪽 상단에 배치
  • 엔터디 관계 설정
  • 관계명 설정 : 엔터티 간의 어떤 행위나 존재가 있는지 표현
  • 관계 참여도 표현 : ex) 고객은 여러 개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 관계 필수 여부 표현 : ex) 모든 사원은 하나의 부서에 속해야 한다.

 

 

데이터 모델링 고려 사항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는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 데이터 모델의 독립성 : 독립성이 확보된 모델은 고객의 업무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를 해야 하고 이 때에 사용되는 것이 정규화이다.
  • 고객 요구사항의 표현 : 데이터 모델링으로 고객과 데이터 모델러 간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고객의 요구 사항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 데이터 품질 확보 : 데이터베이스 구축시에 데이터 표준의 정의하고 표준 준수율을 관리해야 한다. 데이터 표준을 확보해야 데이터 품질을 향상실킬 수 있다.

 

2023.08.16 - [IT 자격증 공부/SQLD] -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3(3층 Schema)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3(3층 Schema)

3층 스키마(Schema) 3층 스키마란, 사용자, 설계자, 개발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보는 관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기술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ANSI 표준이다. 데이터베이스의 독링성을 확보하

codingralro.tistory.com

 

728x90